분류 전체보기520 코리아이플랫폼 <직책자 성과피드백> 워크숍 (2024.04.11) 1분기가 지나는 시점에서 성과관리 피드백을 하는 방법에 대한 실습을 가미한 워크숍을 진행했습니다. 관찰기록과 기분 나쁘지 않는 피드백, 중간점검 포인트에 대해 강조했습니다. ^^ 2024. 6. 3. '고성과자' 케어가 먼저다 저성과자보다 더 많은 케어 노력을!2024.01.31 리더와 면담, DALLE-E 생성성과 평가 면담에 있어 리더는 일반적으로 '저성과자' 면담에 주력합니다. 목표 수준을 달성하지 못한 이유를 규명하고 추후 보완하는 방식을 고민하는 것이죠. 물론 필요 없는 일은 아닐 겁니다. 하지만, 성과의 대부분은 '고성과자'에서 나옵니다. 우리는 너무나 당연한 걸 의식하지 못합니다. (여기서 '저성과자'는 일시적으로 성과가 낮은 직원이 아니라 만성적인 상황에 있는 직원을 의미합니다)고성과자 평가 면담은 대개 이렇게 흘러갑니다.리더: "이번 시기에도 성과가 좋네요. 수고했습니다."직원: "감사합니다."리더: "뭐... 하고 싶은 얘기 있나요?"직원: "어... 특별한 건 없습니다."리더: "그래요, 다음 시기에도 잘 .. 2024. 6. 3. 드라마-'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 5 5화. "네가 안 행복한데 누가 행복하겠어?"😐2024.02.02 출처: 넷플릭스 웹사이트한동안 매주 금요일마다 드라마를 1화씩 살펴볼 예정입니다. '정신병'이라는 독특한 주제를 다루고 있으나 실상 정도의 차이만 있을 뿐 우리 모두 환자라는 생각이 듭니다. 실제 1:1 코칭에 나서보면 정신 질환이 염려되는 리더분을 가끔씩 보게 됩니다. 여러 가지 생각거리를 던져주는 드라마였고, 위로와 반성을 할 수 있었습니다. 여러분도 꼭 보셨으면 합니다. (강한 스포를 담고 있습니다)5화는 '가성 치매'를 앓고 있는 환자의 이야기입니다. 딸애는 학폭 피해자가 됐는데 가해자 엄마에게 다정하게 말을 겁니다. 업무 과다로 인한 스트레스로 단기 기억을 잃은 것이죠. 가성 치매(가짜 치매) 판정을 받습니다. 뇌 병변이 없는.. 2024. 6. 1. 리더십스쿨2 시즌1 '멀티플라이어' 마지막 모임(2023.06.01) #리더십스쿨 2 시즌1 마지막 모임을 새벽 05:30부터 진행했습니다. @_@* 훌륭한 의도를 갖고 있으나 디미니셔 효과를 일으키는 관리자의 성향 - 모든 것을 다 잘할 수 없음을 인정하고, 다중적으로 접근해야 함 - 과거의 나와의 비교만 하라. 자책하지 말라.* 상사와 잘 지내기 - 나의 이익, 내 조직원의 이익을 중심으로 사고하면 참고 견딜 수 있음. (개인적인 취향, 선호를 잠시 배제) - 충신, 양신, 간신, 역신 - 상사와 제대로 된 정렬, 하지만 자신을 소진시킬 정도는 하지 말라.* 이직율이 높은 게 꼭 좋지 않은 현상일까? - 조직문화 탓(?)... 나이브한 답일 수도... - 디미니셔가 필요한 때도 있다 - 주관을 앞세우면 내가 나를 힘들게 하게 된다. 2024. 6. 1. 이전 1 ··· 22 23 24 25 26 27 28 ··· 130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