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20

[팀장강남모임] 네 번째 모임 후기(2022.08.26) 네 번째 팀장강남모임을 8/26(금) 19:30에 열 분의 팀장님들과 가졌습니다. 팀워크 형성을 위한 워크숍 Tip을 윤석원 팀장님께 말씀해주셨습니다. 간단하면서도 실무적으로 바로 적용해볼만한 내용이었습니다. 다시 한 번 감사의 말씀드립니다. 아래는 팀장님들의 고민이었고, 서로 응원과 조언을 하시며 힘을 받아가셨습니다. ^^/ - 들쑥날쑥하는 팀원의 모티베이션은 어떻게? - 일 잘하고 착한데, 매일 출근시간 30초 전에 사무실로 들어오는 직원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 - 실무에서 멀어지는 게 두려워요. - 직장 내에서 공유할 수 있는 개인적인 얘기의 한계는? - 나이차가 많이 나는 팀원에게 적절하게 업무지시 방법 - 팀장은 팀원과 정기적으로 점심 식사를 얼마나 자주 해야할까요? - 팀워크를 유지하면서 공정.. 2022. 8. 28.
퍼블리 타고난 리더는 없다: <팀장으로 산다는 건> 저자의 코칭 처방전 https://publy.co/content/6783?s=1em1he 퍼블리 인기 TOP 6 컨텐츠를 달리고 있습니다. ^^ 타고난 리더는 없다 : 저자의 코칭 처방전 팀장이 됐는데요, 팀장을 모르겠어요 publy.co 2022. 8. 26.
'팀장리더십의 기본' 코칭 과정 2기 첫 번째 모임 (2022.08.23) '팀장리더십의 기본' 코칭 과정 2기 첫 번째 모임을 진행했습니다. 한겨레교육 측과 공개 과정으로 진행하고자 했으나 신청자가 적어 고민했습니다. 그렇다고 신청해주신 분께 실망을 드릴 것 같아 사업자 과정으로 시작했습니다. 덕분에 통신판매업과 신용카드 결제 서비스 등록을 했습니다. ^^ 첫 번째 과정은 '리더의 자기 인식' 시간이었습니다. 본인의 리더십 유형을 진단해보고, 어떻게 하면 이상적인 유형으로 전이할 수 있을지 생각해봤습니다. 팀 내의 그라운드 룰(기본 원칙)에 대해 설명드리고, 각자 팀에 적합한 그라운드 룰을 과제로 내드렸습니다. 나왔던 질문입니다. Q. 팀장은 실무를 안 해도 되는가? 그러면 팀원들이 일 안한다고 하지 않을까? Q. 신규로 입사한 직원이 업무 지시에 반감을 가지고, 의도적으로 .. 2022. 8. 24.
전자상거래 표준약관 2022. 8. 24.
커넥팅더닷츠 새로운 보금자리 공사 작년 8월에 회사를 만들고 나서 나만의 공간에 대한 고민을 했습니다. 실제 9월부터 11월까지 외부 사무실을 임대해서 쓰기도 했는데요. 비용과 활용 측면 등 여러 이유로 다시 집으로 들어 왔습니다. ;;; 문제는 집에 제 공간(방)이 없다는 것이었죠. 지금은 드레스 룸을 터서 책상을 두고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와이프 생활공간과 겹치게 되고, 심야, 새벽 작업이 쉽지 않았습니다. 집에 있으면서 제 독립된 공간에 대한 생각이 늘 있었습니다. 흠... 그러던 중 10월에 이사를 가게 됐습니다. 여기도 제 방은 없고요. ㅠㅠ 그래서 생각해낸게 팬트리를 터서 공간을 만드는 것입니다. 그래 봤자 2평 정도 나올까 싶습니다만, 확실히 나눠있는 구획 공간으로 의미가 있겠습니다. 심야나 새벽에 눈치 안 보고 일할 수 있.. 2022. 8. 24.
케이스 스터디 경쟁을 통한 성공사례 강화 "실패사례보다 성공사례 분석에 더 에너지를 쏟으세요." 실패를 맞을 경우 난리가 납니다. 사유를 분석하고, 공유하고, 미팅을 통해 다음엔 이러지 말자고 다짐합니다. 그런데 우리가 조직에서 경험하는 실패는 대부분 어쩔 수 없는 구조적, 환경적 요인 탓일 경우가 많습니다. 즉, 단기간엔 대응하기 어렵다는 것이죠. 반면에 성공사례는 다시 강화하고, 반복하기 비교적 용이합니다. 그런데 우리가 성공했을 때는 어떤 일이 있어나나요? 축하와 탄성이 교차하고 회식에서 위하여를 외칩니다. 성공의 진짜 원인에 대한 비밀은 당사자만이 고이 간직한 채로 말이죠. 할 수 있는 성공을 복사하고 확대해야 합니다. 여기까지 동의하신다면 '그럼 어떻게?'라고 생각하실 수 있습니다. 단순한 베스트 프랙티스 공유로는 흥미가 떨어질 수 있.. 2022. 8. 22.
[SE04] 리더십스쿨 시즌4 <문제해결력> 두 번째 모임 리더십스쿨 시즌4 두 번째 모임을 진행했습니다. - 문제를 찾아가고 해결책을 찾는 데는 잘하지만 실행이 잘 안 된다. - 창의력을 키우는데 지능의 덫이 있을 수 있다. - 브레인스토밍 관련 실제 적용 양태 - 돌발상황(예측되지 않은 상황)에 대한 대처방법 - 이해관계자 유형이 너무 달라서 납득시키기 어려운 상황을 극복하는 방법 - 뇌의 가소성 2022. 8. 2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