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520 팀클다방 (팀장클럽 수다방) 1화 저는 직장인의 고민, 월요병이 없어요.https://naver.me/xZV1eZ2q- 8쇄 비결- 리더 경험... 팀장 12년, 실장 2년 포함- 퇴사 후 독립 후 3년 경험... 월요병, 불금, 휴가- (리더십 저술 프로젝트) 소개... 소통 주제, 2~3년차 팀장 타겟, 2025년 1월 출간 예정2화 "맡고 있던 부서가 없어진다고 합니다" https://naver.me/xWTMHPUW- 팀장 사연 상담... '맡고 있는 부서가 없어질 때 대처 방법'- 팀장이 힘든 이유... 힘든 말을 해야 하는 자리- 정보를 정확하게 전달하는 방법3화 저성과자 팀원 관리하는 방법?https://naver.me/FTXSbgQF- 요즘 리더들이 가장 고민하는 부분... 성과관리- 저성과자 관리... 저성과 기준,.. 2024. 7. 27. 리더십스쿨2 시즌1 '감성지능' 3회차 모임(2024.07.27) 리더십스쿨2 시즌1 '감성 지능' 세 번째 모임을 새벽 05:30부터 진행했습니다. * 모든 것은 현재 나의 마음에 달려있다. --> 코칭 심리학의 기본, 프로이트 심리학(잠재의식에서 원인을 찾음)* 필사적 성공 노력은 다른 이를 능가하고 더 나은 사람임을 증명코자 하는 극단적 욕구* '매번', '늘', '언제나'... 와 같이 말하는 사람. 과거의 일부 경험을 일반화하는 경우 * 합리적 vs. 합리화* 본인의 높은 기대, 사회적 높은 기대, 주변인에 대한 높은 기대... 힘들어지는 이유* 합리적 믿음 vs. 비합리적 믿음* 리더십에 대한 두려움* 일에 몰입하는 것 말고 여유를 갖거나 다른 의미를 부여하면서 다시 관점으로 일을 보게 됨. 예) 잠시 쉬며 햇살 받을 때 느낌, 평소와 다른 작은 경험을 의도.. 2024. 7. 27. 한국P&G의 직무 역량 제도 😏 '성장과 책임이 맞닿은 방식'2024.03.06 세계일보 (2024.03.04)개인적으로 한국P&G 인상이 매우 좋습니다. 아마도 출신자들과의 좋은 경험 때문이 아닌가 싶습니다. 직간접적으로 일해본 결과 매우 합리적이고, 성과 지향적이었으며, 일 처리가 빨랐습니다. 그래서 자연스레 한국P&G의 인사제도에 관심이 갔습니다. https://www.segye.com/newsView/20240304516602기사 내용 중 '조기책임제'가 가장 눈에 들어옵니다. 능력이 있다면 출근날부터 바로 실무 책임을 맡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과거 아티클에도 동일한 내용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한국의 일하기 좋은 기업(11) 한국P&G (포브스코리아)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 2024. 7. 18. 바로 '시험'이 필요할 때입니다 😐 '역량 평가 결과에 직원이 불만일 때'2024.03.05 인사 평가 결과에 대해 항의하는 직원 (DALL-E 생성)인사평가와 관련해 리더가 골치 아픈 부분이 바로 '정성 평가'입니다. 직원은 왜 '주관적으로 평가하냐'며 수용하지 못하겠다고 합니다. 사실, 평가는 '주관적'입니다. Good or Bad를 가르는 타겟을 정하는 것, 결과에 대한 해석 등에 따라 평가 결과는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주관적인 평가가 나쁜 게 아니라 '자의적인' 평가가 나쁜 것입니다. 룰이 허용하는 방향과 범위에 따라 평가자가 권한을 가지고 하면 됩니다. 아울러 '객관적 평가'도 1,000원 지폐 넣으면 1,000원짜리 물건이 나오는 기계적 객관성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평가 원칙과 내용을 평가자와 피평가자가 숙지한 상태로 평가.. 2024. 7. 16. 드라마-'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 8 😢8화. "내가 정신과 간호사인데 그걸 몰라?"2024.03.08 출처: 넷플릭스 웹사이트한동안 매주 금요일마다 드라마를 1화씩 살펴볼 예정입니다. '정신병'이라는 독특한 주제를 다루고 있으나 실상 정도의 차이만 있을 뿐 우리 모두 환자라는 생각이 듭니다. 실제 1:1 코칭에 나서보면 정신 질환이 염려되는 리더분을 가끔 보게 됩니다. 여러 가지 생각거리를 던져주는 드라마였고, 위로와 반성을 할 수 있었습니다. 여러분도 꼭 보셨으면 합니다. (강한 스포를 담고 있습니다)8화는 '우울증'에 빠진 주인공 정다은 간호사의 이야기입니다. 앞서 가깝게 지냈던 김서완 환자의 자살을 잊었던, 기억의 해리 현상을 겪었습니다. 시간이 지나면, 일상에 젖어 들면 나아질 거라는 주위의 응원에 차츰 회복하는 듯 보입니다. .. 2024. 7. 14. 출생율 저하에 대한 단상 😐 '회사가 출생률 향상에 기여할 일은?'2024.03.04 '왜 한국 여성은 아기를 가지지 않는가?' (BBC지난주 연일 뉴스를 장식했던 소식은 한국의 출생률이 지난 분기 최저를 기록했다는 것이었습니다. 정말 이러다간 나라의 존립 자체가 위협받지 않을까 염려되는데요. ㅜㅜBBC의 3월 28일 자 보도의 내용을 살펴봤습니다. https://www.bbc.com/news/world-asia-68402139- 지난 20년 동안 역대 정부는 저출생 문제 해결을 위해 379조 원이 넘는 돈을 투자- 재정 지원이 효과가 없자, 동남아시아 유모 고용, 30세 이전 세 자녀 출생 시 군 면제 등 창의적인 해결책 고안- 하지만 여성들이 아이를 낳지 않기로 한 이유는 따로 있음 . 남녀 역할에 대한 인식 차이: 가사.. 2024. 7. 14. 드라마-'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 7 7화. "우리는 그저 생존자일뿐입니다." 😕2024.02.23 출처: 넷플릭스 웹사이트한동안 매주 금요일마다 드라마를 1화씩 살펴볼 예정입니다. '정신병'이라는 독특한 주제를 다루고 있으나 실상 정도의 차이만 있을 뿐 우리 모두 환자라는 생각이 듭니다. 실제 1:1 코칭에 나서보면 정신 질환이 염려되는 리더분을 가끔 보게 됩니다. 여러 가지 생각거리를 던져주는 드라마였고, 위로와 반성을 할 수 있었습니다. 여러분도 꼭 보셨으면 합니다. (강한 스포를 담고 있습니다)7화는 '자살 시도'를 해서 입원 환자(최준기)의 이야기입니다. 금실 좋던 부부의 일상은 갓 태어난 아이의 갑작스러운 (유아)돌연사로 산산히 쪼개지고 맙니다. 아내가 받은 충격은 더 오래갔고, 어느 날 목을 매고 세상을 등지게 됩니다. 그날.. 2024. 7. 12.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75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