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20

'지금리더' <나로부터 나를 지키세요> '마음 마스크'를 쓰셔야 합니다2023.03.30 코로나 시국이 끝나가는 느낌입니다. 어제 강남에 콘퍼런스를 다녀왔는데, 실내 참석자 대부분 마스크를 벗고 있더군요. 실로 일상으로 회복이 반갑게 느껴집니다. 저는 겨울-봄 환절기에 늘 감기를 달고 살았습니다. 유행성 독감을 두 번이나 앓은 적도 있죠. 그런데 코로나 국면에서 감기에 걸린 횟수가 줄었습니다. 실제 감기 환자가 줄었다는 기사가 나오기도 했습니다. http://www.whosaeng.com/123583 면역력을 위해 좋은 보약을 먹은 것도 아닌데 어떻게 그랬을까요? 손을 잘 씻은 습관이 한몫했을 겁니다. 하지만, 세수 후에 바로 휴대폰을 만지는 경우가 많아서 이건 의미가 크지 않았을 거고, 답은 바로 '마스크'였습니다. 마스크를 쓰면 타인의 기.. 2023. 4. 27.
'지금리더' <MBTI 성행이 안타까운 이유> MBTI 결과로 사람을 판단한다고요???2023.03.29 MBTI 열풍이 지나가고 있다. 한동안 자신의 MBTI 결과를 올리는 게 유행이더니만 이제는 결과를 입사 전형에 반영하는 기업까지 생겨나고 있다. 처음에는 혈액형 타입 같은 유희로 시작했는데, 너무 진지한 영역까지 영향을 주고 있다. 정말 MBTI는 활용할 만한 것일까? 쉽게 말게 MBTI는 사람의 '성격'을 유형별로 구분한 것이다. 성격을 아는 것이 적합한 인재를 뽑는 데 도움이 될까? 결론적으로 아니올시다. (MBTI 자체의 문제점은 차지하고서라도) 비슷한 성격이라고 비슷한 행동을 하는 것이 아니다. 상황에 따라, 마음가짐에 따라 사람들은 얼마든지 다른 행동을 한다. 마치 구획을 정해두고 그쪽에 있는 사람은 이런 행동을, 이쪽에 있는 사람은 .. 2023. 4. 26.
'지금리더' <알찬 회의 진행 팁 두 가지> 회의를 더욱 알차게 만들어보세요2023.03.27 '회의'하면 떠오르는 것, 퍼실리테이션 장면 @김진영 '원활한 의사 소통'은 리더십 과정에 끊이지 않는 주제입니다. 오히려 요즘 더 수요가 많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드는데요. 이 과정에서 '회의'에 대해 묻습니다. 대기업, 공공기관, 중견기업 등 여러 조직에서 해봤는데, 놀랍게도 공통적으로 나오는 단어는 아래와 같습니다. '또?', '언제 끝나나?', '난 왜 여기 있나?', '비효율', '고개 끄덕이기'... 회의를 잘하는 방법 중에서 효과가 높은 팁 두 가지를 소개합니다.🤔이런 점을 생각해보세요~▷ 혹시 같이 회의했는데 다른 결론을 갖고 있나요? 정말 신기한 경험입니다. 분명 같이 얘기하고 결론을 지었는데, 서로 다른 생각을 가지고 있더군요. 이럴 경우.. 2023. 4. 26.
[팀장강남모임] 여섯 번째 오프모임 공지(4/27목, 강남역 인근) 안녕하세요? 에밀입니다. 완연한 봄기운을 받아 강남 다섯 번째 오프모임을 갖습니다. 짧은 주제는 '괴롭힘 받는 리더(팀장)'입니다. 최근 관련 아티클이 나오는 등 문제의 심각성이 부각돼고 있습니다. 오프모임 팀장님 중 '김 매니저'를 안고 일하는 분도 계십니다. ㅜㅜ 고민을 나누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아주 좋은 시간이 될 것입니다. ^^/ 꼭 팀장이 아니셔도 됩니다. 과장급 이상으로 보고하는 직원이 있다면 누구나 가능하십니다. 물론 임원 분은 정중히 사양합니다. ㅎ 현업 종사자만을 위한 자리이므로 신청이 거절될 수 있습니다. - 일시 : 4/27(목) 저녁 7시 30분 (조금 늦으셔도 괜찮습니다) - 장소 : 서울 강남역 인근 (추후 공지드리겠습니다) - 주제 : 상호 소개 (하시는 일, 팀장으로서 고민.. 2023. 4. 11.
리더십스쿨 시즌5 <자기 홍보> 마지막 모임(2023.04.08) 새벽 05:30부터 리더십스쿨 시즌5 마지막 모임을 진행했습니다. @_@ * 용기를 내서 뭔가를 시도해본 경험이나 그렇지 못해서 후회가 되는 경험 * 시도를 막는 장애물은 무엇일까? * 내부적으로 싸움닭이 되가고 있는 아쉬움 * 소모전에 따른 번아웃 위험성 상승 * 안정적이고 오래된 조직의 조직 문화 이슈 * 자율과 책임 * 명확하게 지시하는 것은 언제나 가능한가? * 자기사용설명서 2023. 4. 8.
'지금리더' <퇴직 후 독립해서 좋은 점 하나> 이건 분명히 좋습니다. ^^;2023.03.24 image by freepik독립한 후 여러 사람들이 물어봅니다. 이 생활이 어떠냐고 말이죠. 대부분 부러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회사 생활이 늘 스트레스와 부담의 연속이긴 하니까요. 그동안 받은 질문 몇 가지를 정리해봅니다. 1. '돈 많이 벌지 않아?'일반적으로 저 같이 문과 출신의 경우 원래 벌었던 직장 연봉을 회복하기까지 대략 3년이 걸린다고 합니다. '3년'의 기간은 15~20년 이상 일한 사람이 본인의 퇴직금과 저축으로 버틸 수 있는 시간입니다. 이 기간 안에 '쇼부'가 나야 된다는 말이기도 하고요. 다행히 저는 독립 첫 해부터 연봉을 상회했습니다. 물론 직장인의 월급과 자영업자의 매출은 다르다는 걸 감안해야 합니다. 2. '시간이 자유롭지.. 2023. 3. 31.
'지금리더' <영화-'엑스페리먼트'> 자리가 사람을 만들까요?2023.03.23 1971년 스탠포드 감옥 실험이 심리학자 필립 짐바르도 교수에 의해 진행됩니다. 그야말로 심리학 역사상 가장 유명한 실험이죠. 평범한 사람이 역할 부여(간수, 죄수)에 따라 실제 그렇게 역할한다는 내용입니다. 이는 '자리가 사람을 만든다', '역할을 맡으면 사람이 변한다'라는 주장의 근거가 됩니다. 정말 그럴까요?하지만, 실험 결과에 대한 공인은 이뤄지지 않았으며, 참가자들의 조작 증언이 나와서 결과에 대한 의심을 낳게 했다. 사람은 환경에 영향을 받는 것은 분명하지만, 환경을 극복하기 위한 행동에 나서기도 한다. 100% 절대적이지 않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화 '엑스페리먼트'는 한 번 볼만 하다고 생각합니다. ^^격월간 '리더십미팅'이 3월 27일 .. 2023. 3. 3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