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소통55 조직 내 갑질 논란 두 가지 케이스 보듬컴퍼니 강형욱 대표, 국립해양과학관 이상범 팀장2024.05.28 조직 내 갑질 논란 두 가지 케이스: 강형욱 대표와 이상범 팀장>'늦어져서 죄송합니다" 유튜브 채널 '강형욱의 보듬TV'최근 보듬컴퍼니 강형욱 대표에 대한 갑질 논란이 뜨거운 뉴스로 회자됐습니다. 개통령으로 불리던 유명인의 추악함이 드러났다는 반응과 익명성에 기반한 마타도어의 희생양이라는 의견이 분분했습니다. 양측의 해명과 재해명, 그리고 법적 조치가 언급되고 있기에 진실 공방은 이제 2라운드에 접어들 양상입니다. 현 시점에서 확인된 부분(강형욱 대표 인정)만 가지고 말씀드리겠습니다▶ 사무실 CCTV 감시 논란(1:10경~)"... 때문에 CCTV가 꼭 있었어야 했어요... 요즘 사무실에는 다 있잖아요."사무실에 사람들이 오고가고 용품.. 2024. 8. 21. 코칭은 모르는 사람에게 받으세요 😯 거리감이 솔직함을 만듭니다2024.05.20 >박선현. 2021. 다양성의 전략적 가치: 사회정체성 다양성과 인지 다양성의 통합적 모색, 인사조직연구 2021년 2월 제29권 제1호대학생과 경영자 과정 수강생을 대상으로 콩 세기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3분 주기로 여섯 번의 콩 갯수에 대해 적게 했습니다. 그 중간에는 토론을 진행했고요. 대학생 그룹은 '동일 전공' 그룹과 '전원 타전공' 그룹으로 나눴습니다. 경영자 과정 수강생은 '친분'과 '조언 가능'의 두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그룹과 그렇지 않은 그룹으로 나눴습니다. 결과는 어땠을까요?동일 전공 그룹, 친분/조언 기능이 높은 그룹이 반대 그룹보다 진짜 콩 개수로 논의가 도달하지 않았습니다. 전자 그룹의 경우 논의가 활발하게 이뤄지지 않았으며,.. 2024. 8. 18. 민희진 기자회견 핵심 포인트 😵 잘못된 조직 구조와 달랐던 기대 수준2024.05.13 출처: 유튜브 MBC뉴스 채널4월 24일 민희진 어도어 대표의 기자회견이 세간의 이목을 끌었습니다. 직장인(?)으로서의 회한과 억울한 감정에 대한 공감과 패션 아이템에 대한 완판 행렬까지 대중의 관심을 확 끌어당기는 이벤트였습니다. 민 대표의 기자회견 내용이 사실관계를 반영한다는 전제로 두 가지 포인트를 짚어 보고자 합니다. 관련 내용은 기자회견 1:30:00 부근에서 시작됩니다.그러니까 제가 이게 매도하는 게 아니라요. 제가 하이브한테 다 얘기를 했는데, 멀티 레이블 이게 거버넌스가 문제인 거예요. 그러니까 무슨 말이냐면 지주사 그러니까 모회사에 지금 그 쉐어드 펑션이 쫙 나열돼 있단 말이에요. 그러니까 무슨 말이냐면 IT, 인사... 중앙 .. 2024. 8. 16. 사람들은 생성형AI로 뭘 하나? 😏생성형 AI의 실제 활용2024.03.25 출처: "How People Are Really Using GenAI" (하버드비즈니스리뷰, 2024.03.19)사람들은 ChatGPT, Gemini, Copilot 등 생성형 AI를 어떤 용도로 활용하고 있을까요? 활용처를 살펴보면 나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마침 HBR에서 좋은 아티클이 올라왔네요. rb.gy/plykp6 저자는 100개의 활용 카테고리를 6개의 테마로 분류했습니다. 웹에서 수만 개의 게시물을 수집했다고 합니다. 6개의 테마는 다음과 같습니다.- 기술 지원 및 문제 해결 (23%)- 콘텐츠 제작 및 편집 (22%)- 개인 및 전문 지원 (17%)- 학습 및 교육 (15%)- 창의성 및 레크레이션 (13%)- 연구, 분석 및.. 2024. 8. 14. 이전 1 2 3 4 5 6 ··· 14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