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업무관리14

팀장클럽 <위임의 기술> 북 토크 (2024.10.24) 친정 같은 팀장클럽에서 북 토크를 진행했습니다. 현장감 있는 진행과 즉석 Q&A로 의미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 2024. 11. 25.
트레바리 강남 <위임의 기술> 북 토크 (2024.10.22) 트레바리 강남 아지트에서 북 토크를 진행했습니다. 다들 책을 사오셔서 감개무량했습니다. ^^ 현장에서 받은 질문들입니다.Q. 팀원이 3명이다. 2명은 고성과자이며, 1명은 저성과자이다. 저성과 직원에게 1:1 미팅을 해야 할 것 같은데, 정례적으로 시행하면 나머지 두 명이 이상하게 생각하지 않을까 싶다. 어떻게 하는 게 좋을까?Q. 직원 3명이 일하는 작은 스타트업이다. 대부분 재택 근무를 위주로 하며 업무는 1:1 미팅을 통해서 진행한다. 최근 들어 업무 관련 공지 등을 할때 1:1 미팅이 효율적인지 의문이 든다. 어떻게 하면 좋을까?Q. 입사한지 얼마 되지 않은 경력 직원이 있는데, 함께 일을 해보니 책임감이 떨어지고 태도가 불손하다. 어떻게 코칭해야 효과적일까? 2024. 11. 25.
[북토크] <위임의 기술> 강남 (10/22화 19:30) '위임'은 조직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올리는 데 일조하는 리더십의 핵심적인 방법이죠.동시에 직원들의 사기를 북돋는 동기부여 스킬로 알려지기도 했는데요. 문제는 이게 선택이 아니라 필수라는 것입니다.이제는 '위임'에도 기술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지하고, 적극적으로 위임하는 할 줄 아는 사람이 조직에서도 환영받는 시대인데요.어떻게 리더도 성장하고 직원도 성장하는 방향으로 일할 수 있을까요!위임, 어떻게 잘할 수 있을까요! 이번 북토크에서 어떻게 하면 리더로서 업무 소통을 잘해서, 위임 잘하는 리더로 거듭날지 알아보면 어떨까요!10월 22일 저녁 7시 30분, 트레바리 강남 아지트에서 만나요! 이런 분들께 추천드려요원온원, 피드백, 코칭, 부서 미팅… 이게 다 뭔가 싶은 분일은 넘쳐 나는데, 성과 부진으로 힘들어.. 2024. 10. 14.
<위임의 기술> 두 번째 질문: 업무량 관련 직원들 갈등을 푸는 방법은요? Q. 직원들 간 업무량 관련 갈등은 어떻게 풀 수 있을까요?​A. 얼핏 보면 업무를 덜 맞으려는 것처럼 보인다. 실제 이런 상황이 많긴 하다. 만약 그렇다면 다른 처방이 필요하다. 속내를 알아보면 다른 이유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내 역할과 책임 이상으로 업무를 맡길 꺼려한다는 것이다. 후배인 내가 선배보다 일을 더 많이 하는 것 같다는 것이다. 이는 공정성 이슈와도 결부돼있다.리더 입장에선 직원의 역량 수준과 부서 상황 등을 파악해서 방정식을 풀어야 한다. 하지만 난해하고 복잡하다. 개인 성향과 취향이 크게 작용해서 그렇다. 이럴 경우 명확하게 풀 수 있는 단 하나의 기준은 '연봉'이다.경력 사원 채용이 주를 이루면서 직위별 Pay band는 깨졌다. 책임보다 연봉 높은 선임, 부장보다 연봉 높은 차장.. 2024. 10. 1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