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520 [SE02-2] 리더십스쿨 시즌2-2 <코칭 리더십> 세 번째 모임 리더십스쿨 시즌2-2 세 번째 모임을 새벽 05:00부터 진행했습니다. @_@ - 코칭의 주제는 코칭 대상자가 명확하게 인지한 상태에서 시작해야 한다. - 모든 사람을 코칭하지 말라. 한계가 있다. - 모범을 규정화해놓은 것 --> 그라운드 룰 - 코칭이 어린 아이를 가르치는 것 같이 느껴짐. 나이가 많은 후배를 대할 때도 적용될 수 있다. - 바쁜 상황에서 기한이 촉박할 때 직접 업무를 처리하는 유혹, 문서 수정을 직접 하며 기안하는 유혹이 만성화되지 않게 하기 2022. 7. 23. 군대에서 축구한 이야기 (조직력에 대한 이야기) 오랜만에 군대에서 축구한 얘길 해보고자 한다. ;;; 우리 소대는 군수과, 인사과, 병기과 계원들로 구성됐는데, 나는 인사과 행정계원이었다. 아무래도 몸을 쓰는 군수과 계원들은 운동을 잘했다. 인사과 계원들은 대부분 문과 출신들로 운동을 잘하지도 좋아하지도 않았다. 그런 어느 날, 군수과 간부가 과 대항 축구 시합을 제안해왔다. 내기 시합이었다. 아마 우리 계원 모두가 하고 싶지 않았을 것이다. 그래도 인사과 선임하사를 주축으로 해보자는 의견 일치를 봤다. 애초 게임이 되지 않을 경기였다. 우리는 수비에 전력하다 기습하기로 하고 전반전에 임했다. 우리 팀 개개인이 아무리 '개발'이여도 '떼 수비'를 하니 실점하지 않았다. 계원 중 하나가 골키퍼를 잘 봤고, 군수과 계원들은 대부분 조직 플레이보다 개인 플.. 2022. 7. 19. [SE04-1] 리더십스쿨 시즌4-1 <최고의 팀은 왜 기본에 충실한가> 첫 번째 모임 리더십스쿨 시즌4-1 첫 번째 모임을 새벽 05:30부터 진행했습니다. (아궁 졸려....) * 진로에 대한 생각 * CEO 자질, 임원의 자질, 팀장의 자질의 차이 * 역량 기반 면접이 팀 플레이 역량을 가진 지워자를 가려낼 수 있을까? 겸손, 갈망, 영리함으로 나타나는 팀 플레이어의 특성에 대해 앞으로 보다 진지한 논의가 이어질 예정입니다. ^^ 2022. 7. 16. [SE04] 시즌4 <업무 지시 자가 진단> 진행 리더십스쿨 시즌4 클래스에서 '업무 지시'와 관련된 자가 진단 세션을 가졌습니다. 20 문항을 통해 현재 우리 팀의 수준을 살펴봤고요. 부가적으로 여러 고민과 응원이 오고 갔습니다. - 저성과 팀원에 대한 대응 - 본인(팀장)에 대한 피드백을 받자 - 우리 팀의 현황에 대한 반성 특히나 '저성과자'에 대한 뜨거운 말씀들이 있었습니다. 정말 난제 중의 난제겠죠. ;;; 그래도 팀장님들끼리 말씀을 나누면서 시원하다는 의견이 있었습니다. 리더십스쿨은 그런 공유가 있는 공간입니다. ^^ 2022. 7. 16. 이전 1 ··· 80 81 82 83 84 85 86 ··· 130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