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더십106

[팀장강남모임] 다섯 번째 모임 후기(2022.09.29) 다섯 번째 팀장강남모임을 여섯 분의 팀장님과 함께 했습니다. 모이신 인원은 적었지만 내밀한 대화가 더욱 충실히 진행됐다고 생각합니다. ^^ 이직 후 팀장으로 자리를 잡아가는 데 어려움과 대응법에 대해 실제 작년 이직을 하셨던 '히로인' 팀장님께서 발표를 해주셨습니다. 아마도 오신 팀장님들께선 이직을 고민 중이신 분이 많으셨을 것 같아요. 그래선지 살아 있는 말씀에 호응과 질문이 많이 이어졌습니다. 논의 주제 - 팀장의 기본적인 소양은 무엇일까요? - 최초 팀 빌딩 시 어려움과 극복 방법 - 이직을 결정하게 된 이유와 이직 후 팀장으로 적응 노하우 - 회사 직원들과 일도 좋은데... 사장님과 의견이 안 맞는다면 이직이 답일까요? - 2개 팀 겸직 팀장의 업무 집중 방법 - 직원들을 움직여서 성과를 낼 수 .. 2022. 9. 30.
옛날 방식의 기획(의사결정)과 헤어질 결심 '기획 과정'이 차츰 심플해지고 있다. 그것은 '의사결정'과 관련된 상황이 변하고 있기 때문이다. 10년 전만 해도 기획 부서는 아무나 갈 수 없는 핵심 부서였다. 의사결정을 뒷받침하는 자료 수집과 분석, 다양한 툴 등... 사내 컨설팅 부서라고 해도 과언은 아니었다. 하지만 지금은 그렇지 않다. 왜일까? 첫째, 정답을 알기 어렵다. 예전엔 감이 오는 결론이 많았다. 하지만 지금은 다르다. 본인이 내린 결정에 자신감이 떨어진다. 불행히도 기존의 기획 프로세스를 거쳐도 그 자신감은 채워지지 않는다. 둘째, 답이 변한다. 예전엔 한번 의사결정을 하면 중간에 바꾼다는 것이 거의 불가능에 가까웠다. '아닌데, 아닌데'하면서도 끝까지 가서 확인해야 바꿀 수 있었다. 지금은 그렇게 중간 중간 해야 한다. 시장이 워.. 2022. 9. 1.
애초 '관리'가 있었다. 리더십은 그 다음이다. “우리 회사 리더십 교육을 의뢰하려고 하는데요.” “아, 그러시군요. 어떤 주제를 원하시는지요?” 대강 이렇게 교육 과정 협의는 시작한다. 특이한 점은 표면상으로는 리더십 교육 말하는데 얘길 들어보면 실상 필요한 교육은 '관리 영역'이라는 것이다. 업무지시, 인사평가, 권한위임 등이 대표적이다. 물론, 최근에는 관리와 리더십을 명확히 구분하는 것이 쉽지 않고 꼭 그럴 필요도 없다. 다만, 이 둘의 성격은 분별해볼 필요가 있다. 관리는 '상황 정리'에 집중한다. 시장 상황을 정리하고, 내부 프로세스를 정리하며, 매출 상황을 정리한다. 복잡한 상황을 명확(이슈 해결 등)하게 하는 것이다. 주로 과거와 현재에 관련된다. 이에 반해 리더십은 '방향성'에 집중한다. 어떻게 동기를 끌어낼 것인가, 어느 방향으로 이.. 2022. 8. 10.
“좋은 팀은 어떤 특성을 갖고 있나요?” 많은 질문 중 하나다. 팀을 이끄는 리더든, 팀원이든 관심이 있는 주제가 되겠다. 심리적 안정감, 잘 짜여진 조직, 의미, 파급력, 신뢰… 이것은 구글이 발견한 ‘구글의’ 좋은 팀 특성이다. 여기에 활력, 동기 등의 교과서 같은 내용을 덧붙일 수도 있겠다만, 내가 본 표면적인 현상은 대부분 ‘이직율이 낮다’는 것이다. (물론 고인물 조직과는 구별해야 한다) 좋은 팀이라고 할때 성과와 떼놓을 수는 없다. 조직은 나름의 성과를 내기 위함이 본연의 목적이며 그런 기준에 따라 좋은 팀은 식별된다. 물론, 고성과를 내는 것은 상당한 노력과 스트레스를 동반한다. 이를 극복하는 힘은 리더 개인뿐만 아니라 팀워크에서 나온다고 본다. 따라서 좋은 팀은 어려움을 팀 내에서 해결해내는 팀이다. 이런 팀을 팀원은 떠나려 하지.. 2022. 7. 27.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