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지금리더'뉴스레터150 '지금리더' <영화-'엑스페리먼트'> 자리가 사람을 만들까요?2023.03.23 1971년 스탠포드 감옥 실험이 심리학자 필립 짐바르도 교수에 의해 진행됩니다. 그야말로 심리학 역사상 가장 유명한 실험이죠. 평범한 사람이 역할 부여(간수, 죄수)에 따라 실제 그렇게 역할한다는 내용입니다. 이는 '자리가 사람을 만든다', '역할을 맡으면 사람이 변한다'라는 주장의 근거가 됩니다. 정말 그럴까요?하지만, 실험 결과에 대한 공인은 이뤄지지 않았으며, 참가자들의 조작 증언이 나와서 결과에 대한 의심을 낳게 했다. 사람은 환경에 영향을 받는 것은 분명하지만, 환경을 극복하기 위한 행동에 나서기도 한다. 100% 절대적이지 않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화 '엑스페리먼트'는 한 번 볼만 하다고 생각합니다. ^^격월간 '리더십미팅'이 3월 27일 .. 2023. 3. 30. '지금리더' <중년이 되어 좋은 이유> 중년이 돼도 좋습니다 ^^2023.03.22 출처: image by freepik한국 사회에서 나이 많은 사람들에 대한 멸시와 무시의 경향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런 탓인지 젊어서는 중년이 되는 것에 대한 막연한 걱정이 있었다. 주변에도 나이 듦에 대해 불안감을 표하는 사람들이 있었다. 하지만 중년의 나이로 접어들고 보니 예전 생각과는 달리 좋은 점들이 여럿 있음을 느끼고 있다. (2022년 기준 한국 중위 연령은 45세이다) 1. 경제적으로 안정된다직장인의 경우 대략 40대 중후반에 가장 높은 수입을 거두게 된다. 물론 자녀들의 대입, 등록금 등의 문제가 있는 시기지만, 꾸준히 저축과 투자를 해왔다면 비교적 안정감을 누릴 수 있다. 2. 경륜이 쌓이고, 지혜가 만들어진다40대가 되면, 대략 사회생활이.. 2023. 3. 29. '지금리더' <면접에서 팀워크 수준 판별하기> 어떤 질문을 던져야 할까?2023.03.21 출처: katemangostar at freepikHow to sound collaborative in a job interview (fastcompany.com) (면접에서 협력적인 사람처럼 보이는 방법)의 내용을 역으로 바꿔서 구성했습니다. 개인적으로 HR 활동 중 가장 중요한 것이 '채용'이라고 생각합니다. 그중 핵심은 '면접'이겠지요. 사실 지식과 기술을 가늠하기는 상대적으로 용이합니다. 문제는 '태도'입니다. 태도 중에서 '협업' 수준을 판단하는 방법을 말씀드립니다. 1. '나'보다 '우리'를 더 말하는가실제 구글에서는 수행 프로젝트 중 성공 사례를 묻습니다. 그러면 신나서 자기 자랑하기 바쁜데요. 면접관은 그의 설명 중에서 'We'를 얼마나 많이 쓰.. 2023. 3. 28. '지금리더' <점심은 꼭 같이 먹어야 할까?> 점심은 꼭 같이 먹어야 할까?2023.03.20 점심 식사에 대한 흥미로운 조사가 있었습니다. 다소 보수적인 집단은 공무원을 대상으로 했는데요. 정도의 차이가 있었지만 기성 세대와 MZ 세대 간의 공통적으로 의견이 모아지기도 했습니다. - 점심 식사를 매일 꼭 같이 먹어야 할 필요는 없다.- 회식도 점심 식사로 대용이 가능하다.🤔이런 점을 생각해보세요~▷ 식사를 하면서 나누는 소통의 기회는 일과 중 사무실에서 해도 된다? 회의와 면담으로 충분하다는 생각이 퍼지고 있습니다. 오히려 식사 시간이라도 개인의 시간으로 보장해줘야 한다는 것이죠. 기성 세대도 이에 동의하는 분위기입니다. 식사까지 같이 한다고 소통이 잘 되는 건 아니라는 건 주지의 사실입니다.▷ 회식은 꼭 밥 먹고, 술 먹어 할까요? 새로운 경험을.. 2023. 3. 27. 이전 1 ··· 16 17 18 19 20 21 22 ··· 38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