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십스쿨69 리더십스쿨2 시즌2 '코칭' 주제 마지막 모임 (2024.12.28) * 부하가 계속 성과를 올릴 수 있게 하는 상사가 유능한 상사다. * 일의 종류나 정도보다는 일의 방법이 문제가 되어야 한다는 말의 뜻? 과정이 정말 중요, 발전소 근무자의 일 * 어떻게 하고 싶은 일만 하겠는가? 본질은 어떤 일을 선호하는지를 모르거나 알려고 하지 않는 리더의 자세가 문제다. * 설득... 설명하여 동의를 얻는다. 직원도 설득의 개념으로 리더의 말을 들었으면 좋겠다. * 메일로 화내지 말라 --> 글자는 표정이 없다 * 구구절절 말하지 않기 * 리더의 전문성이 함정이 될 수 있다. * 두괄식으로 얘기하는 목적은 구구절절 설명하지 않기 위함이다. * 팀 그라운드룰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방법 * 장점이 아닌 점은 100% 단점이 아니라 '문제'일 수 있다. * 직원은 리더의 '단점' 때문에.. 2024. 12. 28. 리더십스쿨2 시즌2 '코칭' 주제 네 번째 모임 (2024.12.14) 12월 14일 새벽 05:30에 모임을 가지고 토론했습니다.- 억지로라도 자주 마주치면 친밀감이 형성된다.- '요즘 어때?'를 대체할 수 있는, 세련된 말은 무엇일까?- 관심사를 부담감 안 주고 파악할 수 있는 방법- 정기적인 잡담의 힘- 목표(타겟)에 대한 상사/부하 간의 갭이 다르다면?- 목표 설정 시 '숫자'를 줄 때 생기는 부작용... 생각의 확장X, 관점의 전환X- 성과 평가에서 자기 평가의 의미- 피드백 시스템이 갖는 의미: 과정 관리 2024. 12. 14. 리더십스쿨2 시즌2 '코칭' 주제 두 번째 모임 (2024.11.02) #리더십스쿨 '코칭' 주제로 두 번째 시간을 05:30부터 가졌습니다. @_@* help vs. support* 사고를 예방한 사람보다 발생한 사고를 잘 처리한 사람을 조직에서 높게 쳐주는 세태* 심리적으로 아픈 사람은 코칭하지 말라. 심리상담이나 정신과 치료가 필요* 부하직원은 전폭적으로 신뢰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너무 어려운 문제* 부하가 상사에게 자꾸 의지하려고만 한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Y/N 말고 옵션(객관식)으로 가져와라. 상사마다 스타일이 다르다.* 권한 위임을 좋아하지 않는 이유는 뭘까? 결과물에 대한 책임 소재 여부가 중요* 1:1 미팅... 리더 말고 직원이 이끌어야 한다. 리더가 답을 주는 자리라면 부서 미팅과 다를 바가 없다. 업무보다 개인의 발전에 대해 말하도록 해보자. 1:1 .. 2024. 11. 2. 리더십스쿨2 시즌2 '코칭' 첫 번째 모임(2024.10.05) 리더십스쿨2 시즌2 '코칭' 첫 번째 모임을 가졌습니다. * 수직형 구조에서 수평형 구조로 조직이 변화에 따른 장/단점 * 중간관리자의 어려움 가중; * 의사소통은 수평적으로, 실행은 수직적으로 * 나이에 따른 차이 실감 * 과거에는 '관계'와 '숙련'이 중요, 최근에는 '업무'와 '창의'가 중요 * 조작주의 방임주의 * 코칭이 만병통치약은 아니다 2024. 10. 7. 이전 1 2 3 4 5 ··· 18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