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십스쿨69 '팀장리더십의 기본' 코칭 과정 2기 첫 번째 모임 (2022.08.23) '팀장리더십의 기본' 코칭 과정 2기 첫 번째 모임을 진행했습니다. 한겨레교육 측과 공개 과정으로 진행하고자 했으나 신청자가 적어 고민했습니다. 그렇다고 신청해주신 분께 실망을 드릴 것 같아 사업자 과정으로 시작했습니다. 덕분에 통신판매업과 신용카드 결제 서비스 등록을 했습니다. ^^ 첫 번째 과정은 '리더의 자기 인식' 시간이었습니다. 본인의 리더십 유형을 진단해보고, 어떻게 하면 이상적인 유형으로 전이할 수 있을지 생각해봤습니다. 팀 내의 그라운드 룰(기본 원칙)에 대해 설명드리고, 각자 팀에 적합한 그라운드 룰을 과제로 내드렸습니다. 나왔던 질문입니다. Q. 팀장은 실무를 안 해도 되는가? 그러면 팀원들이 일 안한다고 하지 않을까? Q. 신규로 입사한 직원이 업무 지시에 반감을 가지고, 의도적으로 .. 2022. 8. 24. [SE04] 리더십스쿨 시즌4 <문제해결력> 두 번째 모임 리더십스쿨 시즌4 두 번째 모임을 진행했습니다. - 문제를 찾아가고 해결책을 찾는 데는 잘하지만 실행이 잘 안 된다. - 창의력을 키우는데 지능의 덫이 있을 수 있다. - 브레인스토밍 관련 실제 적용 양태 - 돌발상황(예측되지 않은 상황)에 대한 대처방법 - 이해관계자 유형이 너무 달라서 납득시키기 어려운 상황을 극복하는 방법 - 뇌의 가소성 2022. 8. 20. [SE02-2] 리더십스쿨 시즌2-2 <굿 피드백> 첫 번째 모임 리더십스쿨 시즌2-2 첫 번째 모임을 05:00부터 진행했습니다. - 전문성과 경험 수준이 떨어지는 리더는 어떻게 조직을 리딩해야 할까? - 코로나 사태로 온라인 환경 하에 소통이 되지 않는 상황에서 조직을 떠나는 신입 구성원들 - 피드백 시 솔직함이 지나치면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 감정적 소모를 줄이는 방법 2022. 8. 20. [SE04-1] 시즌4-1 <문제해결력> 첫 번째 모임 후기 리더십스쿨 시즌4-1 첫 번째 모임을 05:00부터 가졌습니다. - 문제와 이슈의 구별 - 문제의 정의가 매우 중요 - 팀프로젝트 공동배치 --> 이해관계자를 엮어라 - 초기에 관심과 자원을 집중하라 --> Quick win이 있어야 - 아이디어 발상: 브레인스토밍의 약점 - 설문조사의 문항 중요 - 방법론은 방법론일뿐... - 방법론 도입에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음. 어떻게 하면 좋을까? 2022. 8. 13.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18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