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김진영강사12

리더십스쿨2 시즌4 '문제해결' 세 번째 모임 (2025.09.06) 문제해결 방법론인 디자인 씽킹을 AI와 함께 진행하는 모임을 세 번째 가졌습니다. 휴가와 건강 등 사유로 한 달의 공백이 있었던 만큼 지난 두 번의 모임 내용을 복습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AI는 답은 해주지만 그 답을 취사선택하고 최종 결정하는 것은 여전히 사람의 몫이라는 것을 재차 느낍니다. 결국 실력 있는 사람이 성과를 만들어 냅니다. ^^ 2025. 11. 4.
2. 리더의 그림자 리더의 그림자는 조직에 강력한 영향을 미칩니다. 신독(愼獨)의 원리와 최신 리더십 연구를 통해 자기조절과 진성리더십을 실천하는 방법을 알아보세요. 신독(愼獨), 리더십의 출발점"혼자 있을 때조차 도리에 어긋남 없이 스스로를 절제하는 행위." 고등학교 윤리 교과서에 등장하는 신독(愼獨)은 단순한 도덕 개념이 아닙니다. 이것은 리더십의 본질을 관통하는 핵심 원리입니다.우리는 타인의 시선을 의식합니다. 중요한 회의에서, 평가가 있는 순간에 평소와 다르게 행동하려 합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 진면모가 드러납니다. 한두 번은 위장할 수 있어도, 몸에 배지 않은 행동은 지속되지 않기 때문입니다.2024년 Journal of Advanced Nursing에 발표된 진성리더십 연구에 따르면, 자기인식과 자기조절은 진.. 2025. 10. 30.
1. 지식 습득 저의 다섯 번째 도서 #리더가리더에게 내용을 한 장씩 리뷰하는 시간을 가지려고 합니다. 주옥 같은 원문을 소개하고, 제 생각을 더해봤습니다. 오늘은 (1)지식 습득입니다. (좋은 내용을 담고 있으니 많은 관심과 구매를 부탁드립니다) "후배들에게 항상 강조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문제 해결의 시작은 좋은 질문에서 나오는데, '배경'과 '맥락'을 알아야 올바른 질문을 할 수 있습니다." p26요즘 직장인들은 놀라울 만큼 빠르게 답을 찾습니다. 챗GPT, 구글 검색, 업무 매뉴얼을 통해 몇 초 만에 필요한 정보를 손에 넣죠. 하지만 여기에 중요한 질문이 있습니다. "그 답이 어디서 왔는지 아시나요?" 최근 2024년 연구에 따르면, 조직학습 프로세스 중 특히 지식 습득, 배포, 해석 과정이 직원 역량을 크게.. 2025. 10. 25.
서울문화재단 포르쉐 프론티어 <스타트업 CEO 리더십> 특강 (2025.10.13) 지난 10월 13일, 서울문화재단 예술플러스창업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스타트업 경영자 리더십' 특강을 진행했습니다. 예술 창업가들과 함께한 이번 강의는 스타트업 생태계의 현실적인 고민을 나누고, 실질적인 리더십 솔루션을 제시하는 뜻깊은 시간이었습니다.스타트업과 대기업, 리더십의 공통 과제모든 조직이 직면한 세 가지 핵심 문제교육을 시작하며 참가자들에게 던진 질문이 있습니다. "스타트업이라서 실무가 많다", "회사 규모가 작아 인원이 부족하다", "리더십 경험이 부족해 서툴다"는 인식이 과연 스타트업만의 문제일까요?흥미롭게도, 대기업 관리자들 역시 "관리자가 되고서도 실무가 많다", "인원이 부족한데 충원이 되지 않는다", "내부에서 리더십 모델을 찾기 어렵다"는 동일한 고민을 토로합니다. 이는 조직의 규.. 2025. 10. 17.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