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택근무7

트레바리 강남 <위임의 기술> 북 토크 (2024.10.22) 트레바리 강남 아지트에서 북 토크를 진행했습니다. 다들 책을 사오셔서 감개무량했습니다. ^^ 현장에서 받은 질문들입니다.Q. 팀원이 3명이다. 2명은 고성과자이며, 1명은 저성과자이다. 저성과 직원에게 1:1 미팅을 해야 할 것 같은데, 정례적으로 시행하면 나머지 두 명이 이상하게 생각하지 않을까 싶다. 어떻게 하는 게 좋을까?Q. 직원 3명이 일하는 작은 스타트업이다. 대부분 재택 근무를 위주로 하며 업무는 1:1 미팅을 통해서 진행한다. 최근 들어 업무 관련 공지 등을 할때 1:1 미팅이 효율적인지 의문이 든다. 어떻게 하면 좋을까?Q. 입사한지 얼마 되지 않은 경력 직원이 있는데, 함께 일을 해보니 책임감이 떨어지고 태도가 불손하다. 어떻게 코칭해야 효과적일까? 2024. 11. 25.
'지금리더' <주4일제 근무를 기다리며> 2023.03.13 @pressfoto at freepik한국은 아직도 세계에서 일 오래 하기로 유명한 나라입니다. 작년 기준 OECD 국가 중 5위입니다. 얼마나 더 많이 일하고 있냐면, 유럽 선진국에 비해서는 일 년에 한 달 반에서 두 달, 옆 나라 일본보다도 한 달 이상 일을 더 하고 있습니다. 선진국은 주4일제 근무를 실험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우리는 연장근무 유연화를... ㅜ😎이런 뉴스가 있어요~ 원문: 주 4일제: 주 4일 근무는 실제로 얼마나 확산될 수 있을까?원문: Considering the Four-Day Workweek? Here Are 3 Tips to Make the Transition Easier | Inc.com🤔이런 점을 생각해보세요~사측이나 관리자 입장에서는 근무 시간 단.. 2023. 3. 20.
'지금리더' <재택근무가 복지라고?> 2023.03.06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518640상당수의 사무직 중심 기업에서 '주 1회' 원격근무 시행이 보편화되는 느낌입니다. 다만, 이를 바라보는 회사와 직원 간의 시각차는 여전합니다. '일의 방식'이냐, '복지 제도'냐는 것입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이런 뉴스가 있어요~ 원문: 원문: 2023. 3. 13.
'지금리더' 1호 <원격근무에 대한 왈가왈부> 2023.01.30 제1호 image by freepik 원격근무에 대한 효과성 여부 논란과는 별개로 점점 일하는 방식으로 전선이 확대되면서 노사 양측의 힘겨루기 양상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이는 코로나 팬데믹 상황의 변화와 복지 혜택으로의 인식 전환과 관련이 있습니다. 최근에는 좋지 않은 불경기 상황도 한 몫하는 모습입니다. 😎이런 뉴스가 있어요~ ○ LinkedIn에 따르면 원격 근무를 내세운 구인 정보가 2022년 3월 정점을 찍고(20% 이상), 줄어들고 있다고 합니다. (2022년 12월 13%) ○ 이는 고용주와 노동자 간의 권력 역학 관계의 변화와 관련됐다고 분석 ○ 2022년 9월 Microsoft 사내 조사에서 리더 중 85%가 하이브리드 작업으로 전환으로 인해 생산성 향상에 대한 확신을 .. 2023. 2. 2.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