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실패사례보다 성공사례 분석에 더 에너지를 쏟으세요."
실패를 맞을 경우 난리가 납니다. 사유를 분석하고, 공유하고, 미팅을 통해 다음엔 이러지 말자고 다짐합니다. 그런데 우리가 조직에서 경험하는 실패는 대부분 어쩔 수 없는 구조적, 환경적 요인 탓일 경우가 많습니다. 즉, 단기간엔 대응하기 어렵다는 것이죠.
반면에 성공사례는 다시 강화하고, 반복하기 비교적 용이합니다. 그런데 우리가 성공했을 때는 어떤 일이 있어나나요? 축하와 탄성이 교차하고 회식에서 위하여를 외칩니다. 성공의 진짜 원인에 대한 비밀은 당사자만이 고이 간직한 채로 말이죠. 할 수 있는 성공을 복사하고 확대해야 합니다.
여기까지 동의하신다면 '그럼 어떻게?'라고 생각하실 수 있습니다.
단순한 베스트 프랙티스 공유로는 흥미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케이스 스터디' 방식이 적합합니다. 물론 단순히 상황을 설명하고 대응 방식을 나열하는 형식은 지루하고 흥미가 떨어집니다. 구성원을 몇 개의 그룹으로 나누고 이들에게 상황을 던져준 후 대응책을 고민하여 발표하게 하는 방식이면 좋겠습니다. 물론 '경쟁 방식'이면 더 좋겠네요. 심사를 통해 시상까지 한다면 보다 확실하게 흥미와 동기를 끌어낼 수 있을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성공사례의 분석을 당사자와 그가 속한 조직은 철저하게 정리해야 합니다. 어떤 챌린지가 있었는지가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 그 부분이 케이스 스터디에 참여할 인원에게 설명할 내용이 될 테니까요.
이렇게 케이스 스터디 경쟁을 하다 보면 여러 가지 관점에서 대응책이 나오게 됩니다. 실제 적용된 사항과 유사할 수도 아주 다를 수도 있습니다. 그렇기에 단순히 성공 내용을 전파하고 숙지할 뿐만 아니라 상황에 대한 대응력을 향상하는 부수적인 효과까지 가져올 수 있습니다.

사업자 정보 표시
커넥팅더닷츠 | 김진영 | 경기도 김포시 고촌읍 | 사업자 등록번호 : 884-06-01976 | TEL : 010-2365-6696 | Mail : jykim.2ndlife@gmail.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2022-경기김포-2724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
'글 > '지금리더'뉴스레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옛날 방식의 기획(의사결정)과 헤어질 결심 (0) | 2022.09.01 |
---|---|
고객은 당신의 사정에 관심이 없다 (0) | 2022.08.30 |
애초 '관리'가 있었다. 리더십은 그 다음이다. (0) | 2022.08.10 |
“좋은 팀은 어떤 특성을 갖고 있나요?” (0) | 2022.07.27 |
일잘 직원이 좋은 리더가 된다는 환상 (0) | 2022.07.26 |
댓글